web study/Spring
Spring 컨테이너에 빈 등록하는 2가지 방식
65살까지 코딩
2022. 1. 19. 22:58
728x90
반응형
Spring 컨테이너에 빈을 등록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이 있다.
먼저 수동 방식을 먼저 보면 @Configuration과 @Bean을 이용해서 등록한다.
@Configuration
public class AppConfig{
//컨테이너에 빈 등록
@Bean //의존관계 주입
public Service service(repository()){}
//컨테이너에 빈 등록
@Bean
public Repository repository(){}
}
그 다음으로 자동 방식을 보면 @ComponentScan과 @Component을 이용해서 등록하고 @Autowired를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한다.
@Configuration
@ComponentScan( basePackages ="Bean을 등록할 파일들의 최상위 위치"
includeFilters = "포함할 컴포넌트"
excludeFilters = "제외할 컴포넌트"
)
public class AutoAppConfig{}
//이제 파일 마다 가서 Bean 등록하고 싶은 Class 위에 @Component를 붙여주고
//의존관계를 설정할 최상위 클래스에다가 @Autowired를 붙여주면 된다!
자동으로 등록된 빈과 수동으로 등록된 빈이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?
Spring에서는 기본적으로 수동 빈을 등록해주었으나 최근에는 컴파일 오류는 내어주는 식으로 바뀌었다!
cf) 수동VS 수동 -> 충돌, 자동VS자동 -> 충돌, 자동 VS 수동 -> 충돌
충돌되지 않게 이름을 잘 설정하자!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