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rabbitmq 싱글톤
- 백준 2252 줄세우기
- nodejs rabbitmq
- 익명 객체 @transactional
- mongodb lookup
- java 1238
- Spring ipfs
- java 팩토리얼 개수
- kotiln functional interface
- 자바 1676
- go
- 안정해시
- Java Call By Refernce
- java 백준 1509
- spring mongoTemplate
- java 파티
- 백준 연결요소 자바
- ipfs singletone
- java 1509
- 자바 백준 팩토리얼 개수
- 백준 1504 java
- javav 1676
- spring mongodb
- kotiln const val
- 전략 패턴이란
- spring mongodb switch
- spring mongoTemplate switch
- ipfs bean
- kotiln const
- 백준 특정한 최단 경로
- Today
- Total
공부 흔적남기기
SQL 명령어 복기 본문
ROUND -> 소수점 반올림할 경우 round(number,0) 소수점 둘째자리부터 반올림할경우 round(number,1) 뒤에 숫자는 소수점 자리개수를 의미한다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51136 예시 풀어보기
Group 한 다음 Group Key로 Count 조건 처리 싶을 경우
HAVING COUNT(*) > 1
이런식으로 처리가 가능하다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31536 예시 풀어보기
날짜간 계산은 DATEDIFF를 사용한다
사용기간을 구할때 5일에시작해서 6일에 끝났으면 2일이므로 +1을 해줘야한다
DATEDIFF(END_DATE, START_DATE) +1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57342 예시 풀어보기
Group한 다음 AVG와 같이 집계연산을 할경우 Select에 집계함수를 이용해 별칭을 선언한 후에
HAVING에서 사용하자 (SELECT에서 사용한다면)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57342 예시 풀어보기
with 절은
with 사용할 CTE 이름 AS (SELECT ~~) 형식으로 사용한다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64671 예시 풀어보기
String을 연결하기 위해선 CONCAT 함수를 사용한다.
CONCAT 내부에서 STRING을 ,을 사용해서 붙인다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64671 예시 풀어보기 \
분기를 처리하기 위해 CASE WHEN ELSE END를 사용한다
CASE
WHEN 조건문 THEN ~
ELSE ~
END 이런식이다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51141 예시 풀어보기
SUBSTRING은
substring("String", 시작인덱스(1부터시작), 자를 숫자의 갯수)
예를들어 01033334444를 010-3333-444로 바꾸고 싶다면
concat(substring(TLNO, 1, 3) , "-", substring(TLNO, 4, 4) ,"-", substring(TLNO, 8, 4)) 다음과 같이 작성해야한다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64670 예시 풀어보기
GROUP BY한 후 SELECT 할 경우 GROUP BY의 KEY는 우리의 예상대로 나오지만 다른 컬럼들은 랜덤하게 나온다.
따라서 GROUP BY를 한후 SELECT 할 떄 주의 하자, PARTITION BY 를 사용하게 되면 GROUP BY KEY는 동일하지만 다른 모든 COLUMN을 가져올 수 있다.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31116 예시 풀어보기
'코테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(0) | 2022.01.17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[1차] 다트게임 (0) | 2022.01.17 |
프로그래머스 키패드 누르기 (0) | 2022.01.17 |
프로그래머스 [1차] 비밀지도 (0) | 2022.01.17 |
프로그래머스 폰켓몬 (0) | 2022.0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