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Java Call By Refernce
- go
- spring mongoTemplate
- Spring ipfs
- java 파티
- ipfs singletone
- 익명 객체 @transactional
- java 1509
- 백준 연결요소 자바
- spring mongodb switch
- kotiln const val
- rabbitmq 싱글톤
- 백준 1504 java
- mongodb lookup
- spring mongoTemplate switch
- javav 1676
- nodejs rabbitmq
- kotiln const
- java 백준 1509
- 전략 패턴이란
- 자바 1676
- 안정해시
- java 팩토리얼 개수
- 백준 특정한 최단 경로
- ipfs bean
- 백준 2252 줄세우기
- kotiln functional interface
- spring mongodb
- java 1238
- 자바 백준 팩토리얼 개수
- Today
- Total
목록linux study (3)
공부 흔적남기기
SSH 터널링 목적: 고객사의 DB에 접근하고 싶으나 열린포트는 오직 22(ssh) 뿐임 사용 Tool 은 putty로 사용 가정 고객사의 서버 IP 는 10.10.10.10 DBIP는 10.10.10.20 port는 27017 로컬 mongoCompass에 고객사의 db를 연결하고 싶음 먼저 putty를 이용해 ssh connect session을 만듦 그 후 터널링을 이용해 source는 2000번 destination은 localhost(remote):3000번으로 열어둠 그 후 10.10.10.10에서 다시한번 터널링 ssh -L 3000:10.10.10.10:27017 root@10.10.10.20 명령어를 통해 터널링 그 후 local로 돌아와 mongoCompass를 2000번 포트로 연결
mkdir directory 디렉토리를 만듦 touch 빈 파일을 만듦 rm 파일을 삭제함 -r 디렉토리 삭제 ls 현재있는 곳의 파일을 보여줌 -s 크기로 정렬 -l 줄로 정렬 -a 거의 모든것을 보여줌 pwd 현재의 위치를 보여줌 cd 파일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음 cat 파일을 읽어줌 vi 에디터로 들어감 htop 작업관리자 비슷한것으로 들어갈 수 있음 locate,find whereis 파일을 찾아줌 > 파일을 텍스트에 아웃풋 할 수있음 >> 파일에 이어 쓸 수 있음 --version 버전을 보여줌 man 파일 사용법을 보여줌 -help 파일 사용버을 보여줌 sudo 작업관리자와 비슷한 느낌 git git파일을 가져올 수 있음 sudo apt-get ... 업그레이드 업데이트 설치 등 다양하게 ..
vi를 통해 c파일을 하나만듦 vi test.c insert(입력) 모드 들어가는법 i : 단순 인설트 모드로 들어감 a : 코드의 마지막 부분으로 들어감 o: 코드 마지막 줄의 다음줄로 들어감 shit + i : 현재 라인의 제일 처음으로 들어감 shit + a : 현재 라인의 제일 마지막으로 들어감 c + w : 현재 커서의 단어를 지우면서 들어감 insert모드 나가는 법 esc키를 누르면 됨 명령을 통해 제어하기 h : 왼쪽으로 이동 ← j : 아래로 이동 ↓ k : 위로 이동 ↑ l : 오른쪽으로 이동 → shit + 6 : 줄의 맨앞으로 이동 shit + 4 : 줄의 맨뒤로 이동 shit + v : 각 줄을 묶어줌 그 후 y를 누르면 복사 p를 누르면 붙여넣기 d키를 누르면 삭제 =키를 누르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