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 흔적남기기

linux vi 기본적인 사용법 본문

linux study

linux vi 기본적인 사용법

65살까지 코딩 2021. 2. 18. 22:44
728x90
반응형

vi를 통해 c파일을 하나만듦

vi test.c

 

insert(입력) 모드 들어가는법

i : 단순 인설트 모드로 들어감

a : 코드의 마지막 부분으로 들어감

o:  코드 마지막 줄의 다음줄로 들어감

shit + i : 현재 라인의 제일 처음으로 들어감

shit + a : 현재 라인의 제일 마지막으로 들어감

c + w : 현재 커서의 단어를 지우면서 들어감

 

insert모드 나가는 법

esc키를 누르면 됨 

 

명령을 통해 제어하기

h : 왼쪽으로 이동 ←

j : 아래로 이동 ↓

k : 위로 이동 ↑

l : 오른쪽으로 이동 →

shit + 6 : 줄의 맨앞으로 이동

shit + 4 : 줄의 맨뒤로 이동

shit + v : 각 줄을 묶어줌 그 후

             y를 누르면 복사

             p를 누르면 붙여넣기

             d키를 누르면 삭제

             =키를 누르면 들여쓰기 정렬

 

yy : 커서가 있는 줄 복사 숫자를 누르고 yy를 하면 커서를 기준으로 숫자 아래 만큼의 줄 복사

dd : 커서가 있는 줄 삭제 숫자를 누르고 dd를 하면 커서를 기준으로 숫자 아래 만큼의 줄 삭제

Ctrl + f : 다음 화면으로 넘어감

Ctrl + b : 이전 화면으로 넘어감

shit + j : 밑에 있는 줄 하나를 윗줄로 올려서 합침

shit + d : 현재커서를 기준으로 뒤에 있는 것들을 지움

shit + insert키 : 외부에서 복사한후 붙여넣기

shit + 5 : { 또는 } 에 커서를 댄후 누르면 {}안의 코드들이 정렬됨

shit + 8 : 커서위의 단어와 똑같은 단어를 찾아줌 n키를 눌러주면 계속 넘어감 shitf + n을 누르면 위로 올라감

u : 지웠던것들 복기

Ctrl + r : u했던것들을 다시 삭제

x : 문자를 하나씩 지움 숫자를 누르고 x를 누르면 하면 커서를 기준으로 문자 삭제

/ + 단어 :찾을 단어를 입력하면 찾아줌

: + 숫자 : 원하는 라인으로 이동 첫줄은 1 마지막 줄은 $

: set nonumber : 라인의 숫자가 안뜨게 만듦

: set number : 라인의 숫자를 만듦

: set paste : 긁어왔던 모양 그대로 정렬 (복사할때 유용)

: set nopaste : paste모드 해제

: %s/찾을 문자열/바꿀 문자 : 찾을 문자열을 바꿀 문자로 rename 해줌

:r result.txt : result.txt라는 소스를 현재 소스에 복사하여 가져옴

:w enter : 현재 소스를 저장

:q enter : 현재 소스에서 나가기

:wq enter : 저장하고 나가기

:q! : 수정한것을 저장 안하고 그냥 나가기

:! 리눅스 명령어 사용가능

 

vi .vimrc에 들어가면 설정가능

 

 

출처 www.youtube.com/watch?v=GWo_MxMlJJ4 다들 시간나시면 한번씩 보시길 추천

728x90
반응형

'linux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SH 터널링  (0) 2022.11.14
linux 기초 떠올리기  (0) 2021.02.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