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 흔적남기기

Spring 싱글톤 패턴 본문

web study/Spring

Spring 싱글톤 패턴

65살까지 코딩 2022. 1. 19. 22:49
728x90
반응형

싱글톤 패턴이란 무엇일까??

먼저 싱글톤이 무엇인지 알기전에 싱글톤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게 된 이유부터 알아보자(원인을 알아야 더 쉽게 이해가 되기 때문)

우리가 이용하는 웹사이트나 어플 같은 경우 수 많은 기능이 존재한다. 우리가 그 기능을 사용할 때 마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된다고 상상해보자 그러면 메모리에 엄청난 부담이 가게 될 것이다(요즘 컴퓨터는 그래도 끄떡 없다고 하긴함 -> 하지만 매우 비효율적임) 

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오게 된 디자인 패턴이 싱글톤 디자인 패턴이다.

 

싱글톤은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. -> 생성자를 private을 해두어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게 하면 된다.

객체의 인스턴스가 필요한 경우 getInstance() 메소드를 만들어 이 메소드를 통해서만 호출하도록 한다. 즉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올 때 마다 객체생성을 하지않고 이미 만들어진 객체를 이용하는 것이다.

 

하지만 싱글톤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.

  • 코드양의 증가
  • DIP 위반
  • OCP 위반 가능성이 높아짐
  • 테스트 케이스 만드는 것이 어려워짐

등 다양한 문제들이 생겨 유연성이 떨어지게 된다.

 

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싱글톤 패턴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Spring의 싱글톤 컨테이너이다.

@Configuration을 통해 @Bean으로 등록된 객체들은 한 번 저장이 된후 또 저장을 시도하면 저장하지 못하게 한다.

@ComponentScan을 통해 컨테이너에 등록해도 기본적으로 싱글톤으로 저장된다.

AppConfig의 CGLIB가 이 기능을 수행하게 해준다.

 

하지만 이러한 Spring의 싱글톤을 사용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

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Stateful하게 설계해서는 안된다. 즉 Stateless하게 설계해야 한다. 만약 Stateful하게 설계를 하게되면 클라이언트들의 정보가 뒤죽박죽이 되어 아주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.

728x90
반응형